우보천리 개발
정보처리기사 비전공자 22년도 필기 합격 공부법 본문
비전공자인 내가 정보처리기사 22년도 첫 필기 시험에 합격한 방법을 적어보도록 할 것이다.
누구에게는 맞고 누구에게는 아닐 수 있으니 참고만 하면 좋을 것 같다.
교재
가장 인기 있는 수제비와 시나공이 있는 것 같은데 나는 수제비로 공부했다.
특별한 이유는 없었고 서점에 갔을 때 먼저 보였길래 구매했다.
내용은 똑같으니 비교하지 않고 샀다.
공부기간
대충 공부한 기간을 포함하면 1.5달 정도 공부한 것 같다.
처음 몇주동안은 시험이 멀었기에 책을 대충 1회독 하고 암기같은건 하지도 않았다.
하지만 시험 2주전 부터 압박감이 느껴져서 열심히 '제대로' 공부했다.
* 정보처리기사 기출 공부법
https://developerkim.tistory.com/17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CBT, 오답정리 사이트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사이트 정보처리기사 뿐만 아니라 각종 자격증 등 기출문제가 있는 사이트를 소개한다. 기출문제 사이트 바로가기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developerkim.tistory.com
공부방법
시험을 보고 나서 느꼈지만 책의 회독을 높이면 높일수록 좋은 것 같다.
어떻게보면 당연한 말이겠지만 정말 많이 봐서 눈에 익히는게 도움이 되었다.
처음에 1회독을 할 때 대부분의 내용을 이해하지는 못했다.
학교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련 기초 과목을 들어서 3과목은 수월했지만
나머지 과목들은 정말 어려웠다. 특히 4,5 과목에서는 개념도 제대로 보지않고
조금만 이해 안되면 하기 싫어서 넘어갔다.
이때는 그냥 연필로만 표시했다.
그렇게 대충 1회독을 마친 후에 책 뒤의 모의고사를 풀어봤는데 35점도 나오고 그랬다.
그때 정신차리고 2회독을 하기 시작했다.
1회독 할때 보다 더 꼼꼼하게 읽었고 대충 넘어갔던 개념들도
제대로 읽어보려고 했다.
그렇게 2회독을 끝내고 모의고사와 기출문제를 풀어봤는데 전 보다는 보이는 문제가 많아졌지만 그래도
점수는 택도 없었다. 특히 암기해야되는 부분에서는 암기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풀지 못했다.
기출과 모의고사를 풀어보니 중요한 개념들이 무엇인지 보이게 되었다. 자주 나오는 개념이 있었고 진짜 안나오는
개념도 많았다. 3회독에는 그런 개념들을 찾아 표시해놓으면서 읽어나갔다.
회독을 할 때마다 기존에 썼던 필기구와 다른 색을 사용하면서 표시를 했다. 그렇게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많이 보인 내용, 못외운 부분 그리고 어려운 부분에서는 더 많은 표시가 생겼다.
이후에는 기출문제를 더 많이 풀었다.
기존에 20~21년도만 풀었다면 이후에는 더 많은 문제를 풀고 싶어서
개정전 기출문제도 풀었다.
개정전 기출문제는 볼 필요가 없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봐서 나쁠건 없다고 생각한다.
자주 나오는 핵심 개념들이 많이 출제되었고 자연스럽게 암기도 되었다.
시험 3일전
이때부터는 기출문제 오답풀이, 책에 있는 문제들 오답풀이 그리고 표시해놨던 중요 개념들을 다시 반복했다.
그리고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목을 꼼꼼하게 읽었다.
암기는 별로 하고 싶지 않아서 책에 있는 '두음쌤'을 위주로 봤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과목에서 정규화과정을 '원부이결다조' 로 외웠는데 각 과정이 뭐가 뭔지 제대로 몰라도
문제의 보기에서 해당 글자로 시작하는 답을 체크할 수 있었다.
시험 이후
이번 시험은 전에 풀던 기출문제들과 난이도의 차이가 있다고 느껴졌다.
대충 겉핥기식으로 개념을 이해했다면 틀리는 문제가 많아졌을 것 같았다.
무엇보다 나처럼 비전공자인 경우에는 겸손해지고 회독을 높이고 기출문제도 많이 풀어보면서
용어와 개념에 조금 더 친해져야된다고 생각한다.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비전공자 22년도 1회 실기 합격 팁 + 모의고사 사이트 (0) | 2022.06.17 |
---|---|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CBT, 오답정리 사이트 (0) | 2022.03.07 |
비전공자 22년도 정보처리기사 1회 필기 시험 후기(과목별 후기) (0) | 2022.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