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 Science/자료구조 (2)
우보천리 개발
Stack과 Queue는 배열 혹은 연결 리스트로 구현할 수 있지만 배열로 구현하였다. Stack은 Java에서 클래스 형태로 제공하지만 Queue는 인터페이스로 제공하기 때문에 구현을 해줘야한다. [Stack] Stack은 리스트의 특수한 형태로 데이터를 리스트의 맨 앞, 맨 뒤에서만 작업할 수 있다. 맨 앞에서는 삽입, 맨 뒤에서는 삭제만 할 수 있는 Last in First Out 구조로 되어있다. 즉 제일 먼저 넣은 원소는 제일 마지막에 꺼낼 수 있다. [Implemented Methods] push : 데이터를 삽입 pop : 데이터를 삭제 peek : 맨 위에 있는 데이터를 읽기 isEmpty : 스택이 비어있는지 확인 size : 스택의 크기를 반환 [생성자] public class MySt..
LinkedList 는 Node 객체 여러개를 이용해서 Node 끼리 연결되어 있는 자료구조이다. Node에는 Data와 다음 노드의 주소 Reference를 갖고 있기 때문에 배열과 다르게 연속적인 메모리에 할당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Java 에서는 List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LinkedList를 구현하고 있다. LinkedList는 단방향, 양방향, 원형 연결 등이 있지만 이번에는 Single LinkedList를 구현해보겠다(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지 않고) https://visualgo.net/en/list Linked List (Single, Doubly), Stack, Queue, Deque - VisuAlgo VisuAlgo is generously offered at no cost ..